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농민과 소비자를 살리는 후보를 뽑아야

설 명절을 앞두고 치솟았던 과일, 채소류를 비롯한 농산물 가격이 내릴 줄 모르고 있다. 정부의 뚜렷한 대책도 없다. 도시 소비자들은 과일,채소를 선뜻 사지 못하고 있다. 높은 물가에 아우성이다. 농산물 값이 오르면 농민들은 수입이 좋아야 할 텐데, 현실은 그렇지 않다. 오히려 힘들다는 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.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?

생산량은 줄고 가격은 오르고,

신선식품 2023년 동월 대비 상승률 20% 폭등

지난 3월 6일 통계청이 발표한 ‘2024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’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는 2023년 2월에 비해 3.1% 올랐다. 2023년 1년 내내 3~4%의 상승이 있었기 때문에 새삼스럽지 않다.

그런데 신선식품의 상승률을 살펴보면 심상치 않다. 신선식품은 2023년 9월까지는 전년 같은 달 대비 2~10% 상승률로 오르락내리락 하다가 10월에 13.3%로 오르더니 그 이후 꾸준히 올라 2024년 2월에는 무려 20%로 폭등했다. 과실은 40.6%가 올랐다. 품목별로 보면 귤 78.1%, 사과 71%,배 61.1%, 토마토 56.3%, 딸기 23.3%가 상승하여 상상을 초월했다.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공급이 모자란다는 뜻이다. 통계청의 ‘2023년 가을배추·무·콩·사과·배 생산량 조사 결과’에 따르면, 사과 생산량은 전년보다 30.3% 줄고, 배는 26.8% 감소했다. 가격이 폭등한 품목들은 공급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.

2023년 9월 가을장마에 과실 수확이 줄고

2024년 2월 겨울장마에 시설 재배 채소류 확 줄어

농산물 생산량은 갑자기 왜 줄었을까? 이유는 기후변화다. 2023년 봄, 꽃필 무렵 이상저온으로 냉해를 입었다. 하동에선 고사리, 매실, 배, 대봉감과 단감 등 과실과 채소류가 냉해 피해를 크게 입었다. 게다가 1년 내내 비가 수없이 내렸고, 9월엔 가을 장맛비가 와서 수확을 앞둔 과일들이 큰 피해를 봤다.

악양면의 대봉감은 평년 수확량의 20%에 지나지 않았다. 대봉감과 단감은 ‘자연재해’로 인정되어 국가의 지원금까지 있었다. 하동만이 아니라 전국적으로 이상기온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다.

게다가 올해 2월에도 많은 비가 내렸다. 진주시 기준으로 볼 때 관측사상 최대의 비가 내렸고,비가 내린 날도 15일이었다. 한 달의 절반 정도가 비가 내린 것이다. (많은 비가 내린 2월. 난생 처음이야! 큰일이야! 기사 참조)